대사께서 말씀 하셨다.
"선지식아! 만약 수도하고자 할진대 재가(在家)라도 또한 무방하니라. 도를 닦음은 절에 있는 것으로 말미암음이 아니니 재가인이라도 잘 행하면 저 동방인의 마음이 착한것과 같고 절에 있으면서 닦지 않으면 저 서방인의 마음이 악한 것과 같나니 다만 마음이 청정하면 자성이 곧 서방 극락이니라"
위공(韋公)이 또 물었다.
"재가인은 어떻게 수행하오리까? 바라옵건대 가르처 주십시요"
대사께서 말씀 하셨다.
"내가 대중들을 위하여 무상송(無相頌)을 지으리니 다만 이에 의지하여 닦으면 항상 나와 더불어 함께 있는거와 다르지 않으니와 만약 이에 의지하여 닦지 않는다면 비록 머리를 깍고 출가한들 도에 무슨 보탬이 되랴" 하시고 게송으로 이르셨다.
"마음이 평등하니 어찌 힘써 계(戒) 가지며
행실이 정직하니 선(禪)을 닦아 무엇하랴
은혜 알아 부모님께 효성공양 잊지않고
의리지켜 위 아래가 서로 돕고 사랑하며
예양(禮讓) 알아 높고 낮음 서로서로 화목하고
인욕한즉 나쁜 일들 걸릴 것이 하나 없네.
만약 능히 나무 비벼 불을 내듯 할지면
진흙속에 붉은 연꽃 어김없이 피어나리
입에 쓰면 몸에는 반듯이 양약(良)이요
거슬리는 말은 필시 마음에 충언(忠言)이라.
허물을 고칠지면 지혜가 살아나고
허물을 두호하면 마음안은 어질지 않네.
일용생활 어느때나 착한 행을 앞세우라.
도(道) 이룸은 재물보시 하는데에 있지 않다.
보리도는 한결같이 마음 향해 찿을 것을
어찌 힘써 밖을 향해 현(玄)을 구해 헤맬손가.
이말 듣고 이를 따라 이 수행을 닦을지면
천당 극락 훤출하게 눈 앞에 드러나리"
대사께서 다시 말씀 하시기를
"선지식아! 다들 이 게송에 의지하여 수행하고 자성을 보아 곧 불도를 이루게 하라. 법은 서로
대대(對待)함이 없느니라."
즉 수도는 견성하는데 있는 것이니 형상에 집착하지 말라. 다만 자성을 보라. 청정한 마음이 서방극락이며 자성이 아미타 부처님임을 강조한 것이다.
계는 그릇된 짓을 막는 것이며 선(禪)은 본성을 바로 쓰자는 것인데
마음이 평등한데 이르고 행실이 자성대로 바르다면 '지계선정(持戒禪定)'은 이미 갖춘것이다.
그러나 그렇지가 않다면 반듯이 수행이 따를 수 밖에 없다.
견성이란 생각만으로는 되는 것이 아니다.
수행과정에는 마음에 거슬리고 뜻에 안맞는 것이 많다. 이런 중에서 자신의 허물을 찾아 고쳐야 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마음에 맞는 순경계만 쫓아서 지낸다면 자신의 흠은 덮여지고 수행은 무력해진다.
남에게 베풀고 사랑을 행한다는 것은 본성의 흘러남이라. 여기에는 자비심이 근본이요 겉에 나타나는 물건에 있지 않다. 자성의 자비를 위시 육바라밀을 행하며 바깥 현상에 한눈 팔지말고 자성 본분행을 밝힐것을 강조한 것이다.
견성 한다는 말, 일체고가 미치지 못한다. 천당은 여기에서는 불국토의 의미이다.
견성에 이르는 일체의 법문은 일체의 상대성을 초월한 불이(不二)의 법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육조스님"의 설법에만 매일것도 없다.
자성이 위없는 선지식이니 오직 "견성" 하도록만 하라 함이다.